고용 안정 없이 콘텐츠 산업 없다
콘텐츠 산업 인력이 열악한 고용 환경에 시름한다. 국가인권위원회가 조사했더니 방송사 안팎 비정규직의 40.8%가 지난 1년간 휴직한 적이 있었다. 68.5%는 실직과 해고를 걱정하는 등 ‘1년 미만 단기 근로’가 태반이었다. 방송 프로그램 제작에 참여하는 파견·용역업체와 외주제작사 직원, 프리랜서 등이다. 일주일에 이삼 일씩 밤샘작업(29.2%)을 했음에도 55.6%가 150만 원도 안되는 임금을 받았다. 명색이 프리랜서인 드라마 보조 작가도 150만 원으로 6개월쯤 버텨야 하는 이가 많다고 한다. 돈을 떼여도 말 못할 처지지만 그나마 일거리를 주니 감지덕지다.
영화 제작진은 더 절박했다. 84.8%가 지난 1년간 평균 6.5개월씩 일을 쉬었다. 월평균 임금이 73만8000원에 불과했다. 팀별 도급계약에 따라 임금을 받는 터라 체불도 비일비재했다. 이러니 발부리에 차이는 연봉 200만 원짜리 조감독과 4개월에 300만 원쯤 하는 촬영 보조가 많을 수밖에. 영화 ‘놈놈놈’을 제작할 때 240억 원이나 들어갔는데 임금을 온전히 받지 못한 이가 있다니 한숨이 절로 새어 나온다.
곪을 대로 곪았다. 흥행에 목매는 방송·영화계의 여러 사정을 참작하더라도 이건 지나치다. 실업 부조 같은 대책을 서두를 일이다. 현실이 이러한데 당국의 ‘콘텐츠 경쟁력 강화’ 정책은 디지털방송콘텐츠지원센터처럼 외형에 치중한 것 같아 걱정스럽다. 지역 콘텐츠지원센터도 물론 필요하나 정작 그 안에서 일할 인력의 복지를 외면하면 곤란하다. 알맹이 빠진 정책일 수 있다는 얘기다. 중추 인력이 즐거워야 ‘한류’도 중동과 동유럽 등지로 더 넓게 흐를 것이다.
더 이상 제작진 고혈을 짜 만든 콘텐츠로 웃는 일이 없어야겠다. 이미 그들은 참을 만큼 참았다. 정책 당국은 물론이고 방송·영화사의 각성이 요구된다.
'싸이월드 피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12.16. 08:49 ㅡ 이 어려운 시국에 그 많은 돈은 도대체 누구 호주머니에서 나올까 (0) | 2020.06.28 |
---|---|
2011.12.20. 08:34 ㅡ 제4 이통 못 뽑은 건 한국 통신 정책과 시장의 한계 (0) | 2020.06.28 |
2011.12.23. 08:51 (0) | 2020.06.28 |
2011.12.28. 09:00 ㅡ 성난 이용자 (0) | 2020.06.28 |
2012.01.05. 09:01 ㅡ 이명박 정부 최시중 방송통신위원회 (0) | 2020.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