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83

언론게릴라 뉴스타파하다

뉴스타파 제작진 지음. 뉴스타파 펴냄. 2023년 3월 1일 초판 1쇄. ‘사원행동'은 2010년 ‘KBS새노조' 출범 맹아였고, KBS새노조는 2010년 7월 1일 시작한 29일간 파업으로 ‘공정방송위원회' 설치가 담긴 합의문을 쟁취하면서 투쟁을 승리로 이끌었다(74쪽). 2010년 공영방송이 정권의 앵무새로 전락하자, 언론노조는 공정보도를 감시하는 조직으로 산하 기구인 ‘민주언론실천위원회'를 복원했다. 위원장은 노종면 YTN 해직 기자가 맡았다. 새로 활동을 시작한 민실위는 언론보도 비평을 담은 ‘민실위 보고서'를 매주 지면에 발표했다(75, 76쪽). 천안함 사태가 일어난 뒤 이명박 정권의 일방적인 주장을 주요 언론사가 아무런 검증 없이 그대로 보도하는 일이 이어지자 민실위는 한국기자협회, 한국PD..

북클럽 자본 10. 자본의 재생산

고병권 지음. 천년의상상 펴냄. 2020년 8월 4일 초판 1쇄. “자본으로서 기능할 가치량이 거치는 첫 번째 운동은 일정량의 화폐가 생산수단과 노동력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것은 시장 즉 유통영역에서 이뤄진다. 이 운동의 두 번째 단계인 생산과정은 생산수단이 상품으로 전환되는 즉시 끝난다. 그런데 이 상품의 가치는 자신을 구성하는 부분들의 가치를 넘어선다. 즉 처음 투하된 자본에 잉여가치를 더한 만큼을 담고 있다. 그다음에는 이런 상품들이 다시 유통영역에 투입되어야 한다. 이 상품들은 판대돼 그 가치를 화폐로 실현하고, 이 화폐는 새로운 자본으로 전환되며, 이 과정이 계속해서 반복되어야(갱신되어야) 한다. 언제나 동일한 순차적 단계들을 거치는 이러한 순환이 자본의 유통을 이룬다(27쪽).” 외견상으로는..

북클럽 자본 9 ━ 임금에 관한 온갖 헛소리

고병권 지음. 천년의상상 펴냄. 2020년 3월 30일 초판 1쇄. 2021년 6월 7일 초판 2쇄. 자기 시대로부터 거리를 둘 수 없는 사람은 자기 시대도 제대로 보지 못하지만 다른 시대도 제대로 볼 수 없습니다(19쪽). “작가가 생산적 노동자인 것은 그가 사상을 생산하기 때문이 아니라 그의 작품을 출판하는 출판업자를 부유하게 하기 때문이다. 즉 그는 어떤 자본가의 임금 노동자인 한에서 생산적이다.”·····중략·····마르크스가 정작 보이고 싶어하는 것은 ‘자본주의에서 생산적 노동에 대한 규정이 얼마나 이상한가'입니다. 아이들의 능력을 키우는 교육자가 아니라 돈을 많이 벌어다 주는 교육자가 생산적 교육자이고, 좋은 생각을 펼치는 작가가 아니라 많이 팔리는 책을 쓰는 작가가 생산적 작가라니, 이 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