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언론포럼 지음. 커뮤니케이션북스 펴냄. 2008년 1월 31일 초판 1쇄. 2021년 10월 20일 초판 2쇄.
(1973년) 11월 5일 동아일보 기자 50여 명이 경북대 학생시위와 민주수호국민협의회의 시국선언문 낭독에 대한 기사가 외압으로 보도되지 못하자 편집국에서 철야농성을 하면서 1971년 4월 15일 ‘언론수호선언’에 이은 ‘제2의 선언’을 결의하였다. 같은 날 대구의 매일신문도 유사한 내용의 선언을 결의하였고 이후 한국일보, 조선일보로 확산되었다(14쪽).
1977년 12월 이부영, 성유보 기자의 출감 환영회 자리에서 동아투위와 조선투위 기자들은 공동으로 민족민주언론 선언문을 발표한다.······중략······민주언론은 민중의 아픔을 같이하는 민중을 위한 민중의 언론이어야 한다(18쪽).
1978년 3월 중앙일보는 성남주민교회에서 열린 구속자 석방 기도회를 보도했다는 이유로 박원훈 기자를 해고했다. 참혹한 언론 현실에 분노한 젊은 기자들을 중심으로 ‘삼성그룹으로부터의 편집 및 제작 자유 확보’ 등 7개의 요구 사항을 담은 결의문을 채택하고 4백여 명의 서명을 받아 사측의 양보를 얻어냈다(19쪽).
CBS 노동조합의 시작은 그 출발이 좀 특별하다. 서울 중앙국이 아니라 CBS 부산방송이 노동조합 탄생의 진원지가 되었기 때문이다(39쪽).
(1988년) 한국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경향신문, 연합통신, KBS, 서울MBC, 부산일보, 경인일보, 경남신문 등 10개사 노조위원장을 중심으로 한 언론노련 실무추친위원회가 구성되었다(76쪽).
1988년 11월 26일 토요일 오후 2시,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이 마침내 출범했다(77쪽).
1989년 5월 17일 <언론노보> 제14호는 소위 ‘조선대 이철규 군 의문사’ 사건을 전면으로 보도했다(86쪽).
1989년 8월 10일 자 <언론노보> 제24호는 당시 사회 최대 이슈로 떠올랐던 전교조 문제를 특집호로 다루었다(86쪽).
(1994년) 한 해가 저물어가던 12월 23일, 서울신문사는 징계위원회를 열어 권영길(53·서울신문 편집국 국제1부 부장급) 전 언론노련 위원장을 해고하고 만 것이다(91쪽).
1988년과 1989년, KBS 노동조합은 사내 민주화 운동의 첫걸음을 알리듯 사내에 포진되어 있던 정치 특채자 80여 명을 퇴진하는 성과를 거두었다(107쪽).
(1990년 5월 18일) 여의도 KBS 본관 주위에는 경찰 병력이 그대로 상주하고 있었으며 KBS비대위는 민주방송실천위원회(민실위)로 조직을 개편, 내부 투쟁으로 방향을 선회하였던 것이다. 어찌 보면 사태의 본질은 조금도 달라진 것이 없었다(126쪽).
1992년 파업을 통해 MBC가 얻은 것은 두말할 필요 없이 ‘공정 방송을 위한 제도적 장치’였다(148쪽).
1988년 8월 MBC노조가 단체협약을 통해 이룩한 공정방송협의회······중략······△노사 동수로 구성되어 △월 2회 정례 회의를 갖고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와 편성·보도·제작 협의를 한다는 운영 내용이 정리된 공방협은 ‘공정방송이야말로 방송사 노조의 가장 중요한 활동 목표’라는 인식이 이루어 낸 값진 성과였다(198쪽).
결국 방송위원회는 2004년 12월 31일 iTV에 대해 재허가 추천을 거부했다(247쪽).
CBS노조는······중략······2000년 5월 31일 단체협약 및 임금협약 교섭 권한을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에 위임, 사측에 교섭을 촉구했다. 이는 상급단체에 산별 교섭권을 위임한 첫 사례이다(266쪽).
결국 CBS노조는 2000년 10월 5일 오전 5시부터 전국적인 총파업에 돌입했다. 2001년 6월 27일까지 무려 267일간 언론노동운동 사상 최장기 파업으로 기록되는 CBS 파업 투쟁이 마침내 시작된 것이다(268쪽).
(1995년 7월) 여태까지 정부는 대기업과 언론사의 방송 진출은 허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이었다. 재벌의 방송 참여 문제는 자본과 권력의 재벌 집중 현상을 심화시킨다는 점에서 광범위한 비판 여론이 형성돼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정부 여당이 느닷없는 경쟁 논리를 내세워 가며 갑자기 이를 허용하고자 나섰다. 반발이 없을 수 없는 일이었다(299쪽).
(1998년 3월) 언론단체들이 정부 여당에 전달한 통합방송법 개정 단일안을 보면, 먼저 방송위원회는······중략······위원은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한 선임 검증과정을 거치며 자격(지역·직능·여성대표·시청자·방송 현업인 등)을 명문화한다(307, 308쪽).
정길화: (2007년 10월) 지금까지 방송노조의 가장 큰 성과는 민실위와 공방협이라고 생각하는데 그 기구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지 않다(380쪽).
1994년 10월 1일 TV수신료, 전기료에 병과 징수제도로 변경, KBS 1TV 광고 폐지(395쪽).
2000년 11월 24일 전국언론노동조합(산별 노조) 출범(400쪽).

'나책좋아요 ILikeBoo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은 영화를 믿지 않겠지만 (0) | 2022.07.18 |
---|---|
2022 제13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0) | 2022.07.06 |
숨을 참다 (0) | 2022.05.18 |
아무튼, 뜨개 (0) | 2022.04.23 |
저널리즘의 기본 원칙 (0) | 2022.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