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책좋아요 ILikeBooks

경제사상사 1

eunyongyi 2025. 7. 3. 07:54

E. K. 헌트 지음. 김성구, 김양화 옮김. 풀빛 펴냄. 1982년 10월 25일 초판 1쇄. 1994년 9월 12일 초판 13쇄.

경쟁적이며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세계(거기서 노동자들이 기능하고 있다)는 일반적으로 주관적인 불안, 고독, 소외를 야기시킨다(32쪽).

플란더즈 지방에는 이미 13세기에 자본주의 직물공업이 존재했다. 여러 가지 이유로 이 산업이 쇠퇴하기 시작했을 때 이 산업이 야기시킨 빈부격차는 결국 1280년경을 기점으로 시작된 일련의 격렬한 계급투쟁을 초래했으며, 그 결과 이 산업은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다. 14세기에는 플로렌스 지방에서 자본주의적 직물공업이 번창했다. 거기에서도 플란더즈에서와 같이 불리한 사업조건으로 말미암아 극빈노동자계급과 부유한 자본가계급 사이에 긴장이 야기되었다. 이러한 긴장의 결과 1379년과 1382년에 격렬한 폭동이 일어났다. 이전의 플란더즈에서와 마찬가지로 계급 간의 적대관계의 해소가 실패하자 이미 쇠퇴기에 들어선 플로렌스의 직물공업은 더욱 쇠퇴했다(42쪽, 43쪽).

진취적인 상인들과 귀족들에 의해 중요한 변혁이 발생했지만, 연이은 사회적 불안정 속에서 가련한 희생물이 된 것은 농민들이었다. 역설적이지만 농민들은 통상 현상유지를 위해 싸우고 있었다(45쪽).

거래 일반이란 다름 아닌 노동과 노동의 교환이며, 모든 사물의 가치는······ 노동에 의해서 가장 공정하게 측정된다(71쪽).

하나의 지배계급을 다른 계급으로 대체하는 필연성을 지닌 제 사회적 변혁은 개혁을 통하여 성취될 수는 없다. 이를 위해서는 혁명이 필요하다(73쪽).

공장들이 서로 가까이에 밀집됨으로써, 증기기관으로 인해 끊임없이 구름 같은 연기에 휩싸인 거대한 검은 공장도시가 형성되었다(80쪽).

그러나 대부분의 노동자들은 취업을 하지 않고서는 일주일도 버텨 내지 못하고, 한 달간 버텨 낼 수 있는 사람은 별로 없으며, 일 년을 버텨 낼 수 있는 자는 거의 없다(89쪽).

급속히 팽창하는 경제의 성과에 접근하는 것이 거부되고, 단지 자본가의 이윤 증대를 위해 그들의 가장 비열한 폭력에 종속해야 하는 노동 계급의 비참한 고통 위에서 산업자본주의가 일어날 수 있었음은 의문이 있을 수 없다(116쪽).

그러나 정부는 천사나 ‘철인왕(philosopher kings)’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인간 본성’에 따라 자신의 쾌락을 극대화시키는 데 관심을 갖는 이기적인 보통 사람들로 구성되었다. 입법자가 빈민이나 또는 부자의 어느 한편의 이해를 조장함에 따라 물질적 이익을 보다 잘 얻는 것은 아닌가라는 질문에 부딪치면, 우리는 공정하고 불편부당한 정부에 의해 유익한 사회 개혁이 가능하다는 벤담의 신념에 내재적인 난점이 있음을 볼 수 있다(199쪽).

(로버트 오웬) 그는 협동조합체제가 자본주의적 기업과 공존하고 경쟁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그것을 대신할 수 있다고 믿었다(225쪽).

“부에 관한 기존의 사물의 질서는 생산 대중의 희생으로 소수를 더욱 부유하게 하고 빈민의 빈곤을 더욱 절망적으로 만드는 경향이 있다(228쪽).”

(바스띠아) 그의 저작의 주된 목적은 자본의 사적 소유권을 변호하는 데 있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세이, 시니어와 마찬가지로 자본가와 지주의 생산에 대한 기여가 노동자의 그것과 유사한 것처럼 보이도록 하고 싶었다(259쪽).

대개의 자본가의 재산은 실제로는 사기와 책략과 수회와 배신과 강압으로부터 유래했으며, 일단 자본주의 체제가 확립되면 한두 세대 후에 대부분의 자본가의 재산은 상속에서 유래하게 된다는 것이다(263쪽).

밀은 “만족한 바보가 되기보다는 불만족한 소크라테스가 되는 것이 더 낫다”는 것을 조금도 의심하지 않았다(271쪽).

빈민에게는 불행한 일이지만 밀의 <경제학 원리>가 출판된 지 130년이 지나는 동안 부자가 ‘부자인 것에 만족하고’ ‘정치적 특권’에 대한 그들의 요구를 철회한 적은 한번도 없었다(288쪽).

“정상적인 노동일의 확립”은 “자본가와 노동자 간의 수세기에 걸친 투쟁의 결과”였다. 이 투쟁의 모든 경우에서 자본은 “만약 사회적인 압력을 받지 않았다면, 노동자의 생명이나 건강에는 개의치 않았다(316쪽, 317쪽).

본원적 축적의 전 과정을 묘사하는 과정에서, 마르크스는 그 초기의 창출과정에 있어서, “자본은 머리에서 발까지 모든 땀구멍에서 피와 먼지로 젖은 채 창출된다”고 서술했다(321쪽).

'나책좋아요 ILikeBoo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지 오웰 진실에 대하여  (0) 2025.09.06
아몬드  (3) 2025.08.04
젊은 예술가의 초상  (0) 2025.05.18
소설신론  (0) 2025.04.26
여름의 빌라  (0) 202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