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전자제어장치
自動車 電子制御裝置, ECU(Electronic Control Unit)
자동차에서 뇌 구실을 하는 컴퓨터가 들어 있는 곳. 엔진 안 여러 기능을 가장 알맞은 상태로 늘 맞춰 준다. 자동변속기를 단 자동차가 퍼지면서 쓰임새가 무거워졌다. 2012년 4월 현대자동차그룹이 이시유(ECU)를 스스로 만들려고 현대오트론이라는 회사를 따로 세울 정도로 가치가 높아졌다. 이시유 중심이 되는 반도체를 만드는 게 현대오트론의 목표였다.
삼성전자와 인텔 같은 반도체 쪽 기업도 이시유에 넣을 반도체 시장을 줄기차게 엿봤다. 이시유에 쓰는 반도체 시장은 보쉬와 프리스케일이 지배했다.
이시유 관련 시장이 꾸준히 커질 것으로 보이나 ‘안전’이 열쇠. 이시유가 자동변속기를 단 자동차에서 ‘급발진’ 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일 수 있다는 헤아림과 분석이 끊임없이 솟기 때문이다.
■잡스 법
JOBS(Jumpstart Our Business Startup) 法(Act)
2012년 미국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새로 생긴 기업을 키우는 데 쓰려고 마련한 법안. 새로 생긴 모험 — 벤처(venture) ― 기업이 어려워하는 자금을 대어 줘 숨통을 틔우고 일자리를 많이 만드는 게 목표다.
인터넷에서 ‘군중(crowd)’으로부터 창업·사업 자금을 모으는 ‘크라우드 펀딩(funding)’을 법으로 받아들이는 내용도 담겼다. 크라우드 펀딩은 금융회사 도움 없이 투자자로부터 직접 돈을 받기 때문에 좋은 사업 아이디어를 가진 신생 벤처 기업에게 쓸모가 있다. 세계 금융권이 오랜 경기 침체 때문에 중소기업을 위한 대출을 줄인 상황을 깨뜨릴 방법 가운데 하나로 떠올랐다.
2013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크라우드 펀딩으로 밀어붙인 사업이 실패했거나 성공해 거둔 수익을 투자자에게 나누어 주지 않는 행위 따위를 규제할 ‘JOBS 법’ 시행령을 마련했다.
■장애인 방송 제공 의무
障碍人 放送 提供 義務
장애인이 방송에 쉬 다가갈 수 있는 권리를 보살피기 위해 모든 방송사업자에게 붙여 준 의무. EBS·SBS·KBS·MBC 같은 지상파 방송사에 조금씩 편성하던 장애인 방송을 2012년 1월부터 모든 방송사업자로 넓혔다. 보통 티브이 화면에는 보이지 않지만 디코더(Decoder)로 자막을 수신하는 ‘폐쇄자막방송’, 화면 움직임을 말로 풀어내 주는 ‘화면해설방송’, 손말(수화)로 내용을 알려 주는 ‘수화통역방송’을 함께 내줘야 한다.
중앙 지상파 방송사는 2013년까지, 지방 지상파 방송사는 2015년까지 전체 방송프로그램 가운데 자막방송 100%, 화면해설 10%, 수화방송 5%를 짜야 했다. 종합편성·보도전문 방송채널사용사업자는 2016년까지 지상파 방송사와 같은 수준으로 장애인 방송 비율을 끌어올려야 했다. 유료방송사업자 가운데 일부도 2016년까지 자막방송 70%, 화면해설 5~7%, 수화방송 3~4%를 짜야 했다.
■재난 자막 자동송출시스템
災難 字幕 自動送出system
지진·해일·태풍 따위를 알리는 재난 방송에 곁들일 티브이 자막을 곧바로 내보내는 체계. 방송사가 재난을 알리는 자막을 따로 만들지 않더라도 확인 버튼을 누르면 10초 안에 방송 전파가 전달된다.
기상청과 소방방재청이 재난 예방·발생 관련 방송을 바라면 SBS·EBS·KBS·MBC를 비롯한 10개 방송사가 자막을 내보낸다. 애초엔 6개 방송사였으나 2013년 5월 10개사로 늘렸다. 재난 방송을 요청하는 기관도 산림청과 원자력안전위원회 따위로 늘렸다.
재난 현장에서 휴대폰으로 찍은 화면을 여러 방송사가 나눠 전달하는 ‘국민 참여형 재난 방송 애플리케이션’ 체계를 짜는 방안도 검토됐다. 다문화 가정과 다른 나라 사람을 위해 영어로 재난 정보를 알리는 체계도 마련했다.
■재능마켓
才能 market
어떤 일을 할 때 쓰일 사람의 재주와 능력 따위를 사고파는 인터넷 장터. 사람이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일을 두고 사거나 파는 관계가 이루어졌다. 인터넷에서 이를 중개하는 사업자도 나왔다.
주로 사람 낱낱이 재능을 팔고, 기업이나 사업가가 산다. 2011년 인터넷 중개 업체가 생겨나기 시작한 뒤 장터마다 여러 생각 — 아이디어 ― 이(가) 더해져 더 나아졌다. 한 중개 업체는 2011년부터 2016년까지 5년 동안 재주와 능력을 팔려는 사람이 9만1094명, 사고판 게 이루어져 돈을 벌어들인 사람이 6만4921명이었다고 밝혔다. 이 업체 인터넷 사이트를 거쳐 사람 재주와 능력을 사고판 횟수가 26만7509건이나 됐다.
■저작인접권자 전송권
著作隣接權者 電送權
배우·가수·연주자·음반제작자처럼 콘텐츠를 실제로 하여 보이는 사람에게 주는 저작물 전송 권리. 영화나 음악 따위를 통신망으로 보낼 수 있는 권한이다. 저작인접권자의 ‘저작물 이용권한’인 셈.
2000년 1월 한국에서 저작권자의 전송권이 허용됐고, 권리가 저작인접권자로 넓어진 것. 방송사업자도 전송권을 누리려 했다. 2013년 3월 지상파 티브이 방송 콘텐츠를 인터넷 같은 곳에 내보내는 iMBC·SBS콘텐츠허브·KBS미디어가 저작인접권자인 해외 음반제작사의 전송권을 깨뜨렸다는 혐의로 피소됐다. 한국에서 일어난 첫 저작인접권자의 방송 콘텐츠 전송권 소송이었다.
■전기등소
電氣燈所
한국 첫 전기발전소 이름. 1887년 경복궁 안 향원지 남쪽과 영훈당 북쪽 사이 20평쯤 되는 터에 지었던 것으로 2015년 5월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자취를 찾아냈다.
주춧돌과 외벽 일부가 발견됐고, 땅속에 묻혀 있던 빛을 낼 때 쓰이는 탄소봉과 뚱딴지(애자) 따위도 나왔다.
1887년 1월 16촉짜리 백열등 750개를 밝힐 수 있는 화력발전 체계를 세웠고, 그해 4월 조선 고종의 잠자리가 있던 건청궁에 100촉짜리 전구 두 개에 처음으로 불을 켰던 것으로 전해졌다. 향원지 물을 빨아올려 발전기를 돌렸기에 ‘물불’, 발전기가 시끄러운 소리를 내 ‘덜덜불’, 제멋대로 불이 들어왔다 나갔다 한다고 ‘건달불’로 불렀다고 한다. 에디슨 전기회사가 2만4500달러에 공사를 맡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1894년 5월 30일 16촉 백열등 2000개를 켤 수 있는 규모로 두 번째 발전소를 만들어 경복궁뿐만 아니라 창덕궁에 전기를 보냈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
■전기레인지
電氣range
전기로 열을 내 음식을 만드는 기구. 니켈과 크롬을 합성한 강철을 전기로 달구는 방식과 전자기 유도에 따른 자기장으로 열을 내는 게 주로 쓰인다. 너무 뜨거워지면 전기가 끊기게 만들었다.
일산화탄소와 그을음을 내보내지 않는 친환경 제품으로 여겨져 찾는 이가 늘었다. 실제로 2006년 12만6000대, 2008년 17만대, 2010년 19만대, 2012년 20만대로 해마다 시장 크기가 커졌다. 자기장을 쓴 레인지는 밑바닥이 화구(火口)로부터 4㎜ 넘게 떨어진 조리용 그릇과 유리·알루미늄·스테인리스로 만든 그릇을 쓸 수 없다. 이를 풀어내기 위해 니켈·크롬 합금을 달구는 방식을 섞어 제품이 나오기도 했다.
전기를 많이 들이는 게 단점. 한국 4인 가구의 월평균 전기료가 5만 원 안팎인데 이걸 쓰면 10만 원을 넘어서는 것으로 헤아려졌다.
■전기통신설비 상호접속
電氣通信設備 相互接續
통신사업자 여럿이 상대가 되는 이쪽과 저쪽 전기통신설비를 맞대어 쓰는 일. 설비는 통신망에 얽힌 것들이다. 전기통신사업법 제34조에 따라 다른 통신사업자로부터 통신망 접속 요청이 있으면 협정을 맺어 설비(망)를 열어 줘야 한다. 통신사업을 할 때 꼭 있어야 할 설비이거나 독점에 가까운 시장 지배력을 가진 기간통신사업자일 때에는 반드시 자사 설비에 대한 접속을 허용해야 한다.
이런 규정에도 불구하고 통신사업자 사이에 상호접속 다툼이 잦다. 협정을 맺었으되 서로를 온전히 믿지 못하기 때문. KT와 SK텔레콤이 2008년 1월 이후 일어난 상호접속을 두고 법정에서 맞선 것도 같은 까닭이었다. 2009년 4월 접속을 일부러 늦춘 책임을 들어 각각 337억 원, 719억 원을 내놓으라는 맞소송을 벌여 오랫동안 다퉜다.
■전력 반도체
電力 半導體
전력을 다르게 해 바꾸거나 마무리 짓고 다루는 반도체. 정보 자산과 가전기기 따위에 쓰일 전력을 지정 조건에 따라 맞춰 주는 장치의 두뇌 구실을 한다.
한국에서 2011년 기준으로 2조7000억 원어치씩 쓰였다. 이 가운데 95%를 바다 밖 다른 나라에서 사들였다. 인피니언·미쓰비시·도시바가 관련 시장을 이끌었다. 이명박 정부 지식경제부와 기획재정부가 2013년부터 2020년까지 8년간 3230억 원(국비 1755억 원)을 들여 효율이 좋은 ‘전력 반도체’를 만드는 기술을 갖추겠다고 밝혔다. 송배전·가전·산업·수송 쪽에 쓸 전력 반도체와 함께 화합물·고압 소자처럼 기초 공정 기술을 갖추는 게 목표. 연구하고 기술을 만들 사람을 키우고 바다 밖 다른 나라와 힘을 합할 바탕도 닦겠다고 했다.
날로 깊어지는 전력난을 풀어내는 데 쓰겠다며 이런 국책 사업을 벌였는데 ‘한국 사회에 정말 전력이 모자란 지’에 대해선 다른 의견이 많았다. 메모리 반도체로 몰린 관련 산업계 관심과 흐름을 ‘전력 반도체’ 같은 시스템 — 비메모리 ― 반도체 쪽으로 돌리려는 뜻엔 얼마간 이해가 모였다.
■전력시장
電力市場
1999년에 마련한 ‘전력산업 구조개편 기본계획’에 따라 2001년 4월 문을 연 전기에너지 시장. 그때 한국전력공사를 6개 발전회사로 쪼개면서 도매 쪽 경쟁 체제를 끌어 들였다. 전력 소매 쪽은 계속 한국전력공사가 도맡았다.
한국전력공사를 쪼개어 만든 한국수력원자력·남동발전·중부발전·서부발전·남부발전·동서발전 같은 6개 공기업과 400여 민간 발전회사가 전력을 만드는데 발전 규모가 2만㎾를 넘는 곳만 이 시장에 참여했다. 이런 발전 체계를 써 그날그날 만들 전력량을 전력거래소가 정하고, 만들어진 전력을 한국전력공사가 사들여 소비자에게 되판다.
이 시장의 도매 거래 가격은 그날그날 움직이는 발전소 종류에 따라 정한다. 도매가격이 소매가격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소매가격은 정부와 한국전력공사가 소비자 물가에 미칠 영향을 따져 정한다. 전력이 국가 기간산업이기 때문에 이런 시장과 가격 결정 체계를 이뤘다.
박근혜 정부는 에너지원에 따른 유통 구조에 “시장 기능을 활성화하겠다”고 밝혔는데, 이 시장에 경쟁 체제를 더 넓게 끌어 들이겠다는 뜻으로 읽혔다.
■전력 피크
電力 peak
전력 사용량이 가장 많아지는 때. 한 시점에 움직일 수 있는 나라 안 모든 발전소의 전력 공급 능력치이기도 하다. 여름 무더위와 겨울 한파가 누그러들지 않을 때 새로운 절정(peak)을 기록하고는 했다.
2011년 이른바 ‘정전 대란’ 뒤로 순간 전력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전력피크제’를 행했다. 한국전력공사와 전력 사용량을 미리 계약한 기업·기관·학교의 순간 전력 사용량을 15분마다 살펴 다달이 계약한 양을 넘어서면 2.5배 비싼 요금을 물렸다.
정부 당국은 2013년 8월 ‘전력 피크’에 따른 정전이 일어날 것으로 걱정되자 한국전력공사와 다달이 5000㎾ 넘게 쓰기로 계약한 2637곳에 의무 절전량을 지정했다. 전력 피크가 잦은 오전 10시에서 11시, 오후 2시에서 5시 사이에 전력 사용량을 3~15%씩 줄이게 했다. 절전 목표치를 채우지 못하면 하루에 50만 원씩 과태료를 물게 했다.
■전자 금융 사기 합동 경보
電子 金融 詐欺 合同 警報
보이스 피싱(voice phishing) 같은 전자 금융 사기에 걸리지 않게 시민에게 미리 알리려고 신호 체계. 한국 정부 미래창조과학부·금융위원회·경찰청·금융감독원이 2012년 11월 시작했다. 금융 사기 사고가 잇따르거나 시민이 조심해야 할 내용을 널리 퍼뜨릴 때 관련 기관이 알림을 함께 낸다.
2013년 3월 시민의 피시(PC)에 나쁜 컴퓨팅 코드를 심은 뒤 가짜 인터넷 사이트로 꾀어 내 금융 정보를 훔치는 ‘파밍(pharming)’이 극성을 부렸을 때 처음 알림이 나왔다. 그해 8월 29일에도 더욱 약삭빠르게 발달한 금융 사기에 맞서기 위해 두 번째 합동 알림이 울렸다.
알림은 정부 관계 기관과 금융 기업의 인터넷 사이트, 이메일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따위를 거쳐 널리 퍼진다. ‘보이스 피싱’ 피해가 많은 농어촌 시민에게 조심할 점을 잘 알리기 위해 유선방송과 마을방송 같은 지역 매체까지 알림에 이용한다. 지역 시민이 한 회의 내용을 알리는 소식지에도 전자 금융 사기 합동 알림에 따라 조심할 점을 담는다.
■전자기파 대피소
電磁氣波 待避所, EMP(ElectroMagnetic Pulse) Shelter
전자기파를 막는 물질로 만든 건물이나 빈 곳. 땅 위 30㎞ 넘는 높이에서 핵폭발이 일어났을 때 쏟아져 나오는 ‘고고도 핵 전자기파(HEMP: High-altitude ElectroMagnetic Pulse)’와 전자기파 발생 장치로 내쏘는 ‘고출력 비핵 전자기파(HPEM: High Power Electromagnetics)’를 막아 내는 게 목표다.
‘고출력 비핵 전자기파’가 통신망 따위에 잡음이나 혼실을 일으킬 수 있어 가림 시설에 대한 관심이 생겨났다. 군사용 ‘전자폭탄(Electronic Bomb)’뿐만 아니라 시중에서 소형 고출력 전자기파 발생 장치를 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여러 나라에 긴장을 이루게 했다.
한국에서도 국립전파연구원과 한국전자파학회가 ‘이엠피(EMP) 대피소’를 만들 방법을 찾았다. 대피소 기본 개념을 세우고 관련 기술과 시설의 표준화를 꾀했다.
■전자무역
電子貿易
나라와 나라 사이 물품 매매를 인터넷으로 하는 일. 옛 산업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가 2003년부터 ‘유트레이드허브(uTradeHub)’라는 체계를 만들어 바다 밖 다른 나라 기업과 물품을 사고팔 수 있게 했다. 판촉·통역·외환·통관·물류·결제 같은 무역 업무를 풀어낼 수 있다. 금융결제원, 국내외 은행, 관세청, 검역소, 보험회사, 상공회의소, 항공사처럼 수출입과 통관에 필요한 관계 기관의 통신망을 이어 냈기 때문이다.
기업마다에 걸맞은 인터넷 무역 체계 — 소프트웨어 ― 를 꾸려 빌려 주는 사업자도 있다. 규모가 큰 기업은 인터넷 무역 관련 컴퓨팅 소프트웨어를 사들여 전사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프로그램에 이어 쓰고, 중소기업은 소프트웨어를 빌려 쓰는 일이 많았다.
■전자 문신
電子 文身
살갗에 새긴 전자 기호. 선(wire) 없는 통신에 쓰는 전파 감지기 — 센서 ― 와 안테나 구실을 할 기호를 살갗에 전자 잉크로 새겨 넣는다.
휴대폰 같은 통신기기와 사람 몸 사이에 통신을 이뤄 내는 도구. 팔뚝 같은 곳에 사람마다 다른 문자열을 인쇄해 인터넷 거래를 할 때 비밀번호로 쓸 수 있게 하는 것 같은 쓰임새가 논의됐다. 전화·이메일·문자메시지가 오면 살갗에 새긴 전자 문신을 떨게 해 무엇인가 걸려 온 것을 알리는 기술 특허도 나왔다. 살갗에 도장을 찍거나 그림을 그려 잠깐 쓰는 전자 문신도 나올 것으로 보였다.
■전자어음
電子--
발행한 사람과 받는 이와 금액 따위를 전자 문서로 표시한 뒤 전산망으로 주고받는 어음. 전자어음관리기관인 금융결제원에 미리 등록해 두고 쓴다. 2004년에 만든 ‘전자어음의 발행 및 유통에 관한 법률’에 따라 2005년 9월부터 시중에 나왔다.
2016년 상반기 발행액이 247조9748억 원으로, 266조855억 원이던 2015년 하반기보다 7.1% 줄었다. 2016년 6월 기준으로 어음을 발행하거나 받은 사람은 49만 8323명으로, 48만507명이던 2015년 말보다 1만7816명(3.7%)이 늘었다.
■전자연구노트
電子硏究note
연구에 힘쓴 걸 적어 두는 전자(電子) 공책. 연구를 어찌 준비하고 무엇을 실험해 어떤 결과를 얻었는지를 기록할 때 쓴다. 전자 문서로 쌓기 때문에 내용 — 데이터 ― 을 쉽게 찾아내거나 다른 사람과 나눌 수 있다.
종이로 만든 연구노트보다 더 쉽게 기록하고 오래 쌓아 둘 수 있다. 특히 전자 문서를 만든 때와 거짓을 진짜처럼 꾸미거나 다른 내용으로 바꿨는지를 알 수 있게 하는 날짜 도장 — 스탬프(stamp) ― 기능을 갖춰 특허 다툼의 증거로 쓰이기도 한다. 내용을 바꾼 기록까지 남기 때문에 연구가 진짜인지를 밝힐 때에도 쓸모가 있다.
이명박 정부 교육과학기술부는 2008년 12월 한국형 ‘전자연구노트’를 만들어 2009년부터 대학과 공공 연구기관에 나누어 줬다. 2005년 불거진 황우석의 거짓 줄기세포 논문 사건과 이병천 서울대 교수의 늑대 복제 진실성 논란으로 연구노트의 중요성이 두드러지게 된 데 따른 움직임이었다.
특허청 밑에 연구노트확산지원본부를 만들어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전자연구노트 체계를 짜고 쓰는 방법을 알렸다. 특히 2010년 8월 11일 뒤로는 나라로부터 도움을 받는 모든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연구노트를 써야 한다.
■전자정보통신산업대전
電子情報通信産業大展, Electronics & IT Industry Fair
한국전자전(KES)·국제반도체대전(i-SEDEX)·국제정보디스플레이전시회(IMID)를 하나로 묶은 박람회. 한국 전자·정보통신 산업의 오늘과 앞날을 바라보는 행사다.
1969년 10월 처음 시작해 2012년까지 43회나 열린 ‘한국전자전(Korea Electronis Show)’가 중심에 있다. 한국 정부가 행사를 열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전자부품연구원(KETI)·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한국인터넷진흥원(KISA)·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힘을 보탰다.
■전자제품 제조 서비스
電子製品 製造 service, EMS(Electronics Manufacturing Service)
다른 기업의 전자제품 제조를 맡아 완성품을 내주는 일. 생산을 도맡되 주문자 상표를 붙이거나 —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 스스로 짠 설계에 따라 만드는 — ODM(Original Design Manufacturing) — 것과 달리 만들어 달라는 대로 짜 맞춰 주는 것에 가깝다.
2000년대 들어 대만과 중국에서 이엠에스(EMS)를 전문으로 삼는 업체가 많이 생겼다. 애플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짜 맞춰 주는 폭스콘이 본보기 업체. 중국 노동자의 낮은 임금 체계와 비용을 줄이려고 제품을 직접 만들지 않는 애플의 전략이 잘 맞아떨어진 결과였다. 폭스콘이 고용한 중국 안 노동자가 100만 명에 이를 정도로 두 기업 관계가 두텁다.
중국 폭스콘의 노동 환경이 매우 나쁜 나머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노동자 연쇄 자살을 불렀다는 의혹이 일었다. 애플의 낮은 도덕성도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전자주민등록증
電子住民登錄證
시민의 개인 정보를 담은 칩(chip)을 심은 주민등록증. 한국 정부 행정안전부가 칩에 시민의 성별·생년월일·주민등록번호·사진·지문·유효기간 따위를 넣은 전자주민증을 2017년까지 발급할 계획이었다.
옛 주민등록증의 잦은 위·변조와 시민의 개인 정보가 새는 사고를 막는 게 목표였다. 2011년 12월 정부가 내놓은 안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와 법제사법위원회를 통과하며 전자주민증 발급이 이루어지는 듯했으나 개인 정보가 샐 것을 걱정한 여러 시민사회단체의 반대로 멈췄다. 제18대 국회(2008년 5월 30일~2012년 5월 29일)가 마무리되면서 관련 법안이 자동으로 버려졌다.
1990년대 한국 정부는 카드 한 장에 주민등록증·주민등록등본·초본·운전면허증·의료보험증·국민연금증서·인감 같은 7개 분야 47개 정보를 모두 담으려 했으나 사생활 침해 논란으로 1999년에 사업을 미뤄 둔 상태였다.
■전자 증거 개시
電子 證據 開示, e-discovery
이메일 같은 전자적(electronic) 문서나 자료를 법정 증거로 내보이는 일. 2006년 12월 미국 연방민사소송규칙(FRCP: Federal Rules of Civil Procedure)이 명문화했다.
소송 당사자에게 증거 개시 대상인 ‘전자적 자료’를 보존할 의무를 준 게 열쇠. 1938년 시작한 ‘종이 증거 개시’ 제도를 정보통신 쪽으로 넓혔다.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기업·기관 사이 교류가 늘면서 이메일 같은 전자적 정보를 어떤 사실을 증명할 바탕으로 삼는 일이 크게 늘어난 결과였다. 특히 미국 법원에서 기업 사이에 특허 다툼이 일거나 짬짜미한 책임을 묻는 재판이 벌어졌을 때 ‘전자 증거’를 제대로 개시하지 못해 벌금을 무는 일이 많아 눈길을 끌었다.
영국, 캐나다, 호주도 비슷한 제도를 마련했다. 한국은 형사 소송에만 맞춰 썼는데 미국을 비롯한 국제 민사 소송이 늘면서 제도가 바뀔 조짐이 일었다. 기업의 전자적 자료를 따로 나눠 보존해 주는 소프트웨어가 나와 팔리기도 했다.
■전자파 등급제
電磁波 等級制
휴대폰 같은 선(wire) 없는 통신 기기나 설비의 전자파를 사람 몸이 빨아들이는 정도를 나누어 놓은 체계. 전자파의 인체 흡수율 — 정도 ― 에 따라 단계를 나눈다. 흡수율은 사람 몸 조직에 미치는 ‘킬로그램당 와트(W/kg)’으로 표시한다.
한국에서는 2013년부터 휴대폰 전자파 흡수율이 ‘1.6W/kg’을 넘어서면 제품을 만들거나 팔 수 없다. ‘0.8W/kg’이면 1등급, ‘0.8~1.6W/kg’이면 2등급이다. 휴대폰을 만드는 기업은 이 등급을 제품 포장 상자, 기능 설명서(매뉴얼), 휴대폰 안 정보 메뉴에 적어 넣거나 따로 안내문을 내줘야 한다. 이동통신 기지국도 보통 사람 눈에 쉽게 띄는 곳에 ‘전자파 방출 세기’를 기준으로 하는 4단계 — 1·2·주의·경고 ― 등급을 표시하게 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정해 둔 기준을 넘어선 기지국을 쓰지 못하게 하거나 따로 안전시설을 만들게 했다.
▴사람 오가는 길옆에 둔 이동전화 중계기. 사람에게 이토록 가깝게 둬도 괜찮을까. 2016년 3월 26일 오후 2시 29분 서울지하철 5호선 역에 가까운 곳에서 찍었다.
■전파시험인증센터
電波試驗認證center
전자파 장해·내성 시험설비를 갖춘 방송통신 기자재 시험장. 1993년 ‘전파연구소 이천분소’로 문을 열었고, 2012년 6월 ‘전파시험인증센터’로 이름을 바꿨다.
방송통신 기자재의 나라와 나라 사이 상호인정협정(MRA: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 체계에 대비한 전파 시험·인증 기관으로 자리 매김하는 게 목표. 방송통신 기자재에서 나오는 전자파로부터 사람을 보살피고, 시장에서 팔리는 제품의 사후 관리를 맡는다. 산업체·대학·민간연구기관이 센터의 시험 설비와 장비를 쓸 수 있게 해 전파 관련 제품의 품질을 더 낫게 바꾸는 일도 한다. 특히 방송통신 기자재 적합성 평가 — 인증 ― 기준에 따라 제품을 제조·수입·판매한 것을 조사하거나 시험한다. 애플 ‘아이폰’ 같은 바다 밖 다른 나라 제품이 한국에 수입되기 전에 개인적으로 들여와 쓰는 소비자가 늘면서 센터에 눈길이 쏠렸다.
■전파지킴이의 날
電波---- -
법에 어긋난 전파 이용과 혼신 따위를 살피는 일을 처음 시작한 것을 기리는 날. 2001년부터 해마다 6월 1일을 이날로 정해 두고 기렸다. 1947년 6월 1일 체신부에서 이 같은 일을 시작한 것을 기려 날짜를 정했다.
2013년 5월 말까지 한국에 허가되거나 신고된 무선국 — 전파를 보내거나 받을 때 쓰는 전기적 설비와 기구 ― 은 131만 개였다. 휴대폰도 무선국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포함하면 한국 안 무선국은 5417만여 개에 이르렀다.
■전화정보서비스
電話情報service
음성 대화(채팅), 증권·스포츠·경마 정보, 운세 상담 따위를 담은 별정(別定) 통신 상품. 사업자는 전화 자동응답체계(ARS: Automatic Response Service)를 갖춘 뒤 통신망을 가진 기간통신사업자로부터 전기통신회선 — 060 ― 을 빌려 상품을 판다. 전화번호는 ‘060-XXX-XXXX’ 방식으로 쓰며 기간통신사업자가 내준다.
2011년 말 기간통신사업자가 전화 정보 상품에 쓸 번호를 심의 없이 내주거나 성인 인증 따위에 쓰이기 때문에 요금을 물리지 말아야 할 통화시간 — 공제 초 ― 을 짧게 하는 일에 대해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문제가 됐다. 전화정보제공사업자의 요금 바꿈 신청을 내버려 둔 것도 문제였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런 문제들을 더 낫게 바꾸기 위해 2012년 5월부터 기간통신사업자로 하여금 ‘전화 정보 등록 사전 심의’를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에 맡기게 했다.
■전화정보서비스 자동 모니터링 체계
電話情報service 自動 monitoring 體系
전화정보제공사업자의 ‘060’ 음성 상품이 이용자에게 꼭 알려야 할 것을 제대로 알리는지, 성인 인증 절차를 거치는지 따위를 자동으로 살피는 시스템. 전화번호(060-XXX-XXXX)를 전화정보제공사업자에게 내주고 관리할 책임이 있는 기간통신사업자인 온세텔레콤·KT·LG유플러스·SK브로드밴드·SK텔링크이 함께 짜 2012년 1월 움직이기 시작했다.
크게 늘어난 ‘060’ 전화정보 상품 관련 민원에 대응하는 게 목표. 증권 정보를 내주거나 음성 채팅 상품 따위로 이용자 편의성이 크지만 잘못된 요금을 물리고, 상품과 관련한 중요 사항을 제대로 알리지 않는 문제가 드러났다. 청소년이 성인용 상품을 쓰는 일까지 늘자 사업자 사이에 스스로 깨끗해지려는 노력 가운데 하나로 자동 모니터링 체계를 만들었다.
‘060’ 전화번호는 해마다 2만여 개씩 쓰이는 것으로 헤아려졌다.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
絶緣 gate 兩極性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자동차처럼 효율이 높은 고속 전력 체계에 쓰는 반도체. 자동차 모터를 다뤄 주기 때문에 아이지비티(IGBT) 기능에 따라 자동차 성능과 전력 효율이 좌우된다. 친환경 자동차 쓰임새가 늘어 눈길을 모았다.
도시바, 도요타, 미쓰비시 같은 일본 기업이 세계 아이지비티 시장을 지배했다. 시장 점유율이 72%에 이르렀다. 한국 기업 제품이 시장에 나온 일이 없었는데 2009년부터 삼성전자가 관련 부품을 만들기 시작했다. LG전자와 현대오트론도 아이지비티를 품는 자동차용 반도체에 관심을 보였다.
■접속 끊을 권리
接續 -- 權利, right to disconnect
미리 정해 둔 노동 시간이 아닌 때에는 이메일을 보내거나 받지 않을 권리. 프랑스 정부가 2017년 1월 1일부터 노동자 수 50명이 넘는 사업장으로 하여금 반드시 지키게 했다. 노동자와 기업이 머리를 맞대 노동 시간이 아닌 때에는 일에 통신망을 쓰지 않는 데 뜻을 모아야 한다. 뜻이 모이지 않았을 때에는 기업이 나서서 ‘미리 정해 둔 노동 시간이 아닌 때에는 통신망을 이용해 노동자의 일에 끼어들지 않겠다’는 규범을 만들어 널리 드러내 알리게 했다.
■정맥인식
靜脈認識
사람 몸속 정맥으로 그 사람인지를 알아보는 것. 정맥이 살갗에 퍼렇게 비치는 데다 사람마다 피가 흐르는 모습이 다른 점을 쓴다. 손가락에 근적외선 — 가시광선에 가까운 적외선 ― 을 쬐어 사람마다의 정맥이 흐르는 형태를 살피는 방식은 2005년께부터 쓰였다. 손등 정맥으로 그 사람인지를 알아보는 체계도 2000년대 초부터 공공기관과 금융권에서 썼다.
손바닥 정맥에도 눈길이 쏠렸다. 그 사람인지를 알아볼 만한 정보가 손가락이나 손등보다 많기 때문. 실제로 사람을 잘못 알아볼 확률이 ‘0.00008%’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문과 홍채로 그 사람인지를 살피는 체계가 널리 쓰였는데 똑같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걱정이 커져 ‘정맥’이 떠올랐다. 지문은 젤라틴 따위로 찍어 낼 수 있고, 홍채도 선명도가 높은 사진으로 진짜처럼 만들 수 있어 걱정을 낳았다.
■정보문화상
情報文化賞
좋은 정보 문화를 퍼뜨리는 데 이바지하거나 새 기술을 만든 사람이나 단체에게 주는 상. 시민 사이 정보 차이와 정보화에 따른 역기능을 없애는 데 이바지했을 때에도 상을 준다.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의 문화 쪽 전신인 정보문화센터 — 한국정보문화진흥원(KADO) ― 가(이) 1989년부터 상을 줬고, 1994년 으뜸상인 ‘정보문화대상’이 대통령이 주는 상이 됐다.
정보문화대상과 함께 정보문화진흥상·정보문화기술상·정보문화교육상을 준다. 한국소비자보호원(1995년)·한국장애인재활협회(1997년)·새롬기술(2000년)·다음커뮤니케이션(2001년)·노인생활과학연구소(2005년)·한민족IT평화봉사단(2007년)·사이버외교사절단반크(2009년)·삼괴중학교(2011년)‧강원정보문화진흥원(2013년) 같은 곳이 정보문화대상을 받았다. 해마다 8월과 9월에 후보를 접수해 심사한 뒤 11월 말 상을 준다.
■정보문화의 달
情報文化- -
한국 정부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가 해마다 6월에 펼치는 정보 문화 행사. 1988년 처음 행사를 치른 뒤 2016년 29회에 이르렀다. 한국정보화진흥원(NIA)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가 행사를 맡는다.
정보 문화를 퍼뜨리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상을 주고, 6월 한 달간 여러 기념행사를 연다. 사이버 폭력 예방 교육과 세미나, 정보 문화 관련 공연 따위다. 2013년에는 6월 한 달에 머무르지 않고 6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사이버 폭력 없는 학교 만들기’를 펼쳐 눈길을 끌었다.
■정보보호관리체계
情報保護管理體系, ISMS(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정보 자산에 넣어 둔 걸 그대로 보존하고 흠이 없게 하며 언제든 쓸 수 있게 한 절차와 과정. 한 조직에 알맞은 정보 보호 방법과 꾀를 짜고, 위험에 늘 맞서는 것을 한꺼번에 다루는 게 목적이다.
기술과 물리적 보호 조치를 비롯한 종합 관리 체계가 방송통신위원회가 알린 기준에 들어맞는지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살펴 준다. 아이에스엠에스(ISMS) 인증을 반드시 받아야 하는 건 아니었는데 2013년부터 민간 기업 가운데 꼭 받아야 할 곳을 가리켜 정했다. 기업의 정보 보호 수준을 끌어올리겠다는 뜻.
■정보보호의 날
情報保護- -
해마다 돌아오는 7월 둘째 주 수요일. 행정안전부·방송통신위원회·지식경제부·국방부·금융위원회·외교통상부·교육과학기술부·국가정보원이 만들어 2012년 7월 11일 처음 기렸다. 사이버 공격을 미리 막고 시민의 정보를 보살피는 게 목표다.
‘정보보호의 달’도 정했다. 7월. 2009년 7월 7일 여러 행정기관과 기업·은행에서 일어난 인터넷 ‘분산서비스거부(DDoS: Distribute Denial of Service)’ 공격 피해를 되새기려는 뜻을 담았다. 해마다 7월 한 달간 ‘청소년 아이티(IT) 캠프’, ‘정보윤리지킴이 캠프’, ‘사이버 공격 시나리오 공모전’ 같은 행사와 함께 교육·홍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국방·금융·외교·지식경제·교육과학 쪽으로 잘게 나눈 행사를 마련하기도 했다.
■정보보호지수
情報保護指數
기업과 사람의 정보 보호 수준을 높이려고 만든 값. 해마다 수준을 잰 뒤 정부 정책을 짤 때 기초 자료로 쓰기 위해 만들었다. 2004년 정보통신정책개발연구과제로 만들었고, 2005년부터 지수를 뽑아냈다.
2010년부터 지수 모델을 바꾸기 시작해 2011년에 ‘지표 분류 체계와 세부 지표’를 바꿨다. 2004년 뒤로 통합보안제품 수요가 늘어난 것 같은 시장 변화를 지표에 비출 필요가 있었기 때문. 지표를 정보보호 ‘환경’과 ‘대응활동’으로 크게 나눈 뒤 잴 곳을 사람과 기업으로 잘게 쪼갰다.
2012년 3월 발표된 ‘2011년 국가 정보보호지수’는 ‘60.3’으로 2010년보다 ‘2.3’점 올랐다. 정보보안 책임자를 뽑고, 콘텐츠·정보 유출 방지 조치를 한 기업이 크게 늘어난 결과였다.
■정보통신기반보호법
情報通信基盤保護法
인터넷 해킹이나 컴퓨터 바이러스 공격과 같은 해코지로부터 주요 정보통신 바탕 설비를 지킬 계획을 짜고 수단을 펼쳐 그 시설을 그대로 계속 부리어 쓰기 위해 만든 법률. 행정•국방•치안•금융•통신•운송•에너지 따위 업무와 이어진 전자적 제어•관리 체계와 정보통신망을 주요 바탕 설비로 보고 이를 지키는 게 목표다.
2001년에 법을 만들었고, 2015년 10월까지 201개 기관의 354개 설비를 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로 가리켜 정했다.
김대중•노무현 정부 정보통신부, 이명박 정부 방송통신위원회, 박근혜 정부 미래창조과학부가 이 법에 따라 정보통신기반보호위원회 밑 민간 분야 실무위원회를 한데 모아 다뤘다. 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을 잘 지키는지 살피고, 민간 시설 가운데 지켜야 할 설비로 정할 것을 권하기도 했다.
국무총리 밑 정보통신기반보호위원회가 정보통신기반시설로 가리켜 정하거나 보호 계획을 실정에 맞게 정돈했다. 미래창조과학부 2차관이 민간 실무위원회 위원장, 국가정보원 차장이 공공 실무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2016년 3월 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을 가리켜 정하고 관리•감독하는 체계가 적절하지 못하다고 감사원이 지적했다. 정보통신기반시설 여부를 가른 기준이 적절치 못한 것으로 평가됐다. 중요 시설임에도 결국엔 지정되지 않는 일도 나왔다.
■정보통신기술개발지수
情報通信技術開發指數, IDI(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Index)
국제전기통신연합(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이 해마다 내놓는 회원국 사이 정보통신기술(ICT) 발달 지표. 나라에 따른 아이시티(ICT) 접근성·이용도·활용정도를 매겨 서로 견준다.
2012년 평가에서 한국이 155개 아이티유(ITU) 회원국 가운데 1위에 올랐다. 인터넷 이용자 비율과 인구 100명마다 유무선 초고속 인터넷에 가입한 수를 매긴 ‘이용도’ 쪽에서 1위였다. 인구 100명마다 유선 전화를 쓰는 수와 이동전화 가입자 수, 인터넷 접속 가구 비율 따위를 잰 ‘접근성’ 쪽은 11위. 스웨덴이 종합 2위였고 덴마크(3), 아이슬란드(4), 핀란드(5)가 뒤를 이었다. 아시아에선 일본(8), 홍콩(11), 싱가포르(12), 마카오(14)가 20위 안에 들었다.
한국은 2013년에도 1위였지만 2014년엔 2위로 떨어졌다. 2014년 1위는 덴마크. 2015년엔 한국과 덴마크가 다시 1, 2위 자리를 맞바꿨다.
■정보통신의 날
情報通信- -
해마다 돌아오는 4월 22일. 조선 고종이 우정총국을 열라고 말한 1884년 4월 22일을 기려 정했다. 우정총국은 체신 사무를 맡아보던 기관. 처음엔 우정총국을 연 것을 축하하려고 잔치를 벌인 12월 4일을 ‘체신의 날’로 정해 기렸는데 고종이 한 명령을 근대 체신사업의 처음으로 보고 날짜를 바꿨다. 1967년 11월엔 5월 31일을 ‘집배원의 날’로 정했고, 1973년 1월 ‘집배원의 날’을 ‘체신의 날’에 묶었다.
1995년 3월 이름을 ‘정보통신의 날’로 다시 바꿨다. 체신부를 정보통신부로 바꾼 김영삼 정부의 조직 바꾸기에 따른 변화였다. 2008년 2월엔 이명박 정부 조직 개편에 따라 ‘정보통신의 날’ 기념행사를 맡아 하는 기관이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로 나뉘어 따로따로 기리다가 2009년 7월 두 기관이 함께 행사를 벌이자는 데 뜻을 모았다. 2016년 4월 22일까지 61회째를 맞았다.
■정부정보호보관리체계
政府情報保護管理體系, G-ISMS(Government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행정기관 정보 호보 관리 절차와 과정. 전자정부 서비스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쓰인다. 2009년 12월 행정안전부 훈령으로 인증하기 시작했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심사해 인증서를 내준다. 반드시 인증을 따야 하는 건 아니다. 2010년 7월 정부통합전산센터와 광주정부통합전산센터가 행정기관 가운데 처음으로 인증을 받았다. 정보보호 관리 4단계와 정보보호 통제항목 142개를 넘어선 정부통합전산센터가 준거처럼 쓰였다.
2010년 12월 서울, 2011년 7월 대전, 2012년 9월 경상남도로 인증이 이어졌다. 인터넷 ‘분산 서비스 거부(DDoS: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과 컴퓨팅 해킹에 맞서려는 뜻이 담겼다.
■정지궤도복합위성
靜止軌道複合衛星
한국 정부가 만들어 한반도를 내려다보려는 인공위성. 기상·해양·환경 쪽에 주로 쓴다. 한반도가 있는 동경 128.2도, 적도 위 3만6000㎞에 쏘아 올린다. 위성이 그곳에서 지구 자전 방향을 따라 같은 빠르기로 돌기 때문에 한자리에 멈춘 것처럼 보인다. ‘정지 위성’으로 부르는 까닭이다.
2013년 6월 25일 미래창조과학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기상청 같은 중앙행정기관이 위성 개발과 활용 협력을 위한 협약을 맺었다. 2018년 12월까지 6697억 원을 들여 위성 2기를 쏘는 게 목표. 2017년 기상 위성, 2018년 해양·환경 위성을 쏘기로 했다.
두 위성이 2010년 6월에 쏜 수명 7년짜리 통신·기상·해양 관측용 정지궤도위성인 ‘천리안’ 대신 쓰이게 된다.
■제사(4) 이동통신사업자
SK텔레콤·KT·LG유플러스가 지배하는 한국 이동통신 시장에 새로 들어가 경쟁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되는 네 번째 사업자. 2011년과 2012년 내내 생기려는 움직임이 일었으나 실제로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제4 이동통신사업자를 써 날로 가라앉는 휴대인터넷 ‘와이브로(WiBro)’를 되살릴 생각이었다. 이를 위해 음성 통화 기능을 포함한 ‘와이브로’ 서비스에 쓸 주파수 2.5기가헤르츠(㎓)대역 안에서 폭 40메가헤르츠(㎒)를 마련했다. 2011년 12월 이 주파수를 7년 동안 쓸 수 있는 사업 면허를 제4 이동통신사업자에게 경매하려 했던 것. 그때 인터넷스페이스타임(IST)과 한국모바일인터넷(KMI)이 나섰지만 모두 쓴맛을 봤다.
그 뒤 제4 이동통신사업자를 뽑을 계획이 가라앉았다가 2012년 10월 KMI가 사업 허가를 다시 신청했지만 역시 뜻을 이루지 못했다.
■제이이아르에스-1
JERS(Japanese Earth Resources Satellite)--
지구 자원을 더듬어 찾는 데 쓰인 인공위성. ‘에스에이아르(SAR: Synthethic Aperture Radar)’와 광학(optical) 카메라를 갖추고 바다 같은 지구 환경을 살피거나 농업•어업•임업에도 쓰였다. 지구에서 되비친 빛을 나눠 땅에 어떤 자원이 있는지를 살폈는데 이 기술이 과일 껍질을 까지 않고도 속이 얼마나 단지를 알아보는 데 맞춰 쓰였다.
1992년 일본우주항공탐사기구(JAXA: Japan Aerospace eXploration Agency)가 지구로부터 570㎞ 떨어진 궤도에 쏘아 올렸다. 1998년까지 움직이며 제구실을 한 뒤 2001년 지구로 떨어지며 불탔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JWST(James Webb Space Telescope)
2018년 10월께 지구로부터 150만㎞ 떨어진 곳에 자리 잡을 우주 망원경. 지름 6.5미터짜리 광학 기계용 거울 18개를 잇대어 허블 우주 망원경(Hubble Space Telescope)보다 더 멀리 바라볼 수 있게 했다.
가시광선에 가까운 근적외선 카메라와 빛을 나누어 살피는 기기를 갖추고 우주가 생겨날 때를 살펴 헤아리는 게 목표. 2016년 11월 망원경 짜 맞추기를 끝낸 뒤 여러 시험을 시작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유럽우주국(ESA: European Space Agency)•캐나다우주국(CSA: Canadian Space Agency)이 17개 국가와 함께 만들었다.
다음 세대 우주 망원경(Next Generation Space Telescope)으로 알려졌고, 허블 우주 망원경이 하던 일을 맡아 하기로 정해졌다.
■조인
Joyn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가 2012년 2월 선보인 통신 한 벌 ― 스위트(suite) — 체계. ‘아르시에스(RCS: Rich Communication Suite)’로 일컫기도 했다. 인터넷 메신저, 음악·비디오 파일 공유기, 모바일 인터넷전화(mVoIP) 따위를 하나로 묶었다. 거의 모든 이동통신 서비스를 묶어 내주기 때문에 시장을 크게 흔들 것으로 보였으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다.
■종합유선방송사업자
綜合有線放送事業者
여러 채널을 방송할 때 쓰이는 방송국과 전송 설비와 관리·운영 노동자를 갖춘 사업자. 흔히 ‘에스오(SO: System Operator)’로 일컫는다.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Program Provider)로부터 한 채널 전부나 일부 시간에 쓸 방송프로그램을 받는다. 알맞은 시설과 기술을 갖춘 뒤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허가를 얻어야 사업을 할 수 있다.
에스오를 여러 개 가진 ‘복수(Multiple) 종합유선방송사업자’ 몇몇이 시장을 이끌자 ‘엠에스오(MSO)’ 한 곳이 1500만여 전체 에스오 가입 가구 — 시청자 ― 의 3분의 1을 넘겨 차지할 수 없게 했다. 2013년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런 규제를 ‘전체 유료 방송 가입 가구의 3분의 1’로 느슨하게 바꿨다.
■종합편성 방송채널사용사업자
綜合編成 放送channel使用事業者
뉴스·드라마·교양·오락·스포츠 따위를 다룬 방송 프로그램을 한데 모아 다루는 사업자. 종합유선 — 케이블 ― 방송이나 위성방송 같은 유료 방송 중계사업자(SO: System Operator)와 채널 사용 계약을 맺은 뒤 프로그램을 내보낸다.
2011년 12월 1일 매일경제신문과 동아·중앙·조선일보가 만든 종합편성 방송채널이 문을 열었다. 2009년 7월 지상파 방송과 종합편성·보도전문 방송채널사용사업자를 가질 수 있는 1인 지분 한도를 49%에서 40%로 느슨하게 하고, 신문과 방송을 함께 경영할 수 있게 한 결과였다. 그때 전체 방송시간 가운데 80% 이상을 보도 프로그램으로 짜는 보도전문 방송채널사용사업자 ‘뉴스Y’도 함께 문을 열었다. 이명박 정부는 새 종합편성·보도전문 방송채널사용사업자를 이용해 시민의 채널 선택권을 넓히고 방송의 산업적 가치를 높이겠다고 호언했으나 오랜 시간 동안 시청률이 1%를 밑돌았다. 이명박 정부와 한나라당이 정권을 길게 늘리는 도구로 쓰려고 무리하게 사업 허가를 내줬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다.
■주노
Juno
목성을 탐사하려고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2011년 8월 5일 쏘아 올린 비행 물체. 5년여 동안 28억㎞를 날아 2016년 7월 4일 목성 궤도에 들어갔다.
50㎞에 이르는 목성 구름층 안쪽을 들여다보는 게 목표. 목성 양극을 도는 궤도를 따라 33회쯤 돌며 태양계가 어떻게 짜 이루어졌는지를 탐사한다. 11억 달러를 들였다.
비행체 이름은 로마 신화에 나오는 신이자 목성을 일컫는 ‘주피터(Jupiter)’의 아내 이름을 그대로 썼다.
■주파수 거래제
周波數 去來制
정부로부터 나눠 받은 방송통신용 전파 — 주파수 ― 이용 면허를 다른 사업자와 거래하는 체계. 전파 자원을 더 잘 쓰는 수단으로 쓰이나 제도로 자리 잡은 나라는 많지 않다. 미국처럼 방송통신 시장 경쟁이 활발한 곳에선 면허를 땄으되 제대로 쓰이지 않는 주파수의 이용률을 끌어올리는 데 쓸모가 있다. 한국처럼 경쟁 체계를 다그치되 통신상품에 따른 사업자 수가 많지 않은 곳에선 전파 독과점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미국에서도 주파수 거래에 따른 독과점 현상은 조심할 일. 2011년 12월 미국 제1 이동통신사업자 버라이즌와이어리스가 케이블티브이사업자 컴캐스트·타임워너가 가진 주파수를 39억 달러에 사들이려 하자 시장 독과점 걱정이 일었다. 미 연방통신위원회(FCC)는 2012년 8월 주파수를 거래한 사업자들이 함께 상품 판촉을 벌이지 못하게 해 독과점 논란을 다독였다.
■주파수 경매제
周波數 競賣制
방송통신 전파 — 주파수 ― 이용 면허를 값을 가장 높이 써 내민 사업자에게 주는 체계. 한쪽이 그만둘 때까지 값 써넣기를 거듭하는 ‘동시 오름차순 경매’가 일반적이다. 1990년대 초 몇몇 나라에서 시작됐고, 미국에서 성공한 적이 있어 여러 나라로 퍼졌다.
한국은 오랜 준비 끝에 2011년 8월 첫 경매를 치렀다. 주파수 1.8기가헤르츠(㎓)대역 안 20메가헤르츠(㎒) 폭을 두고 이동통신 시장 1, 2위 사업자인 SK텔레콤과 KT가 맞붙어 눈길을 모았다. 이긴 곳은 SK텔레콤. 9950억 원을 내고 2021년까지 10년간 주파수를 쓰기로 했다. KT는 이 대역 주파수 가치를 1조5000억 원 이상으로 봤던 터라 아픔이 컸다.
그때 KT는 800㎒대역 안 10㎒ 폭을 2610억 원에 사들였다. LG유플러스도 2.1㎓대역 면허를 4455억 원에 샀다.
■주파수 공유제
周波數 共有制
여러 사업자가 한 전파 — 주파수 ― 면허를 함께 쓰는 일. 미국과 영국이 2010년부터 썼다.
미 연방통신위원회(FCC)는 한 사업자만 쓸 수 있게 허가를 내줬던 주파수를 제2 사업자가 함께 쓰는 ‘공동 이용(shared-use)’ 체계를 골라 뽑았다. 주파수를 유연히 쓰고, 이미 나눠 준 전파 면허를 쓰는 제2 — 파생 ― 통신시장에 눈길을 뒀다. 면허를 얻은 사업자가 약정을 통해 면허 없는 사업자로 하여금 주파수를 쓸 수 있게 하는 ‘사적 공유 체계’로 볼 수 있다.
2012년 6월 미 이동통신사업자 버라이즌와이어리스와 T모바일이 4세대(Generation) 이동통신 주파수 일부 대역을 함께 쓰기로 했다. 영국은 면허를 얻지 않은 채 함께 쓸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늘리는 체계를 썼다. 또 면허를 내줄 때 쓰임새를 미리 정하지 않아 주파수를 함께 쓰도록 꽸다.
■주파수 총량제
周波數 總量制
한 사업자가 쓸 수 있는 방송통신 전파 — 주파수 ― 전체 양을 제한하는 체계. 주파수 면허를 경매할 때 많이 쓴다. 한두 사업자가 모든 주파수를 사들여 시장이 독과점 상태로 빠져드는 것을 막는다.
한 사업자에게 면허 한 개만 주거나 한 사업자를 특별히 지정해 일정 주파수 대역 경매에 나서지 못하게 하는 것. 방송통신 분야에 따라 시장을 지배하는 사업자의 지나친 주파수 점유를 막아 소비자 편익을 보살피는 게 목적이다.
2011년 한국 첫 이동통신 주파수 경매에서 사업자에 따른 경매 참여 자격을 얼마간 제한했다. 시장 1, 2위 사업자인 SK텔레콤과 KT로 하여금 1.8기가헤르츠(㎓)대역 안 20메가헤르츠(㎒) 폭 사용 면허를 두고 겨루되 2.1㎓ 경매에는 나서지 못하게 한 것.
■주파수 할당
周波數 割當
정부가 방송통신 사업을 하려는 이에게 전파 — 주파수 ― 를 나눠 주는 일. 특정 주파수를 한 사업자만 쓸 수 있는 권리를 준다. 대개 기간통신사업, 종합유선방송사업, 전송망사업에 쓸 주파수를 나눠 준다. 정부는 전파 자원 독과점을 막고 경쟁을 불러일으키려고 주파수를 줄 때 여러 조건을 붙인다.
대가를 받고 주는 것과 심사하는 체계가 있다. 나눠 줄 주파수의 가치가 높아 바라는 사업자가 몰릴 때에는 대가 할당을 선택한다. 이때 경매를 할 수도 있다. 심사 할당은 전파자원 이용 효율성과 공평성을 살펴 정한다. 전파를 쓰겠다고 나선 사업자가 주파수를 쓸 필요가 있는지, 기술·재정적 능력을 갖췄는지도 살핀다.
한국은 행정기관 입김이 크게 미치는 체계를 오랫동안 쓰다가 경매제로 정책 흐름이 바뀌었다.
■지니톡
GenieTalk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만든 자동 통역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2012년 10월 한영 쌍방향 통역 애플리케이션을 처음 선보인 뒤 2013년 1월 말까지 4개월여 만에 내려받기 수가 120만 건을 넘어섰다. 자동 통역률이 80%를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옛 행정안전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이 국가 데이터베이스(DB) 구축 사업 가운데 하나로 도움을 준 ‘다국어 음성언어 DB 구축 사업’의 결과물을 썼다. 한국 정부는 구글이 지배하는 인터넷 번역 시장에 변화를 불러일으키기를 바랐다.
■지상파 디지털 티브이 방송
地上波 digital TV 放送
디지털 기술로 만들어 지표를 따라 퍼지는 전파 — 지상파 ― 에 담아 쏘는 티브이 방송. 옛 아날로그 방송보다 선명하고 화질과 깨끗한 음성을 내준다.
EBS·SBS·KBS·MBC 같은 무료 보편 지상파 방송의 질을 높인 것. 2008년 6월 29일 행한 ‘지상파 티브이 방송의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방송 활성화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2012년 12월 31일 아날로그 방송을 멈추고 디지털 방송만 내보냈다. 종합유선방송, 위성방송, 인터넷(IP)티브이 같은 유료 방송을 보지 않은 채 옛 안테나로 티브이를 본 가구는 디지털 수신기를 따로 갖춰야 했다.
■지상파 브이오디
地上波 VoD(Video on Demand)
보고 싶은 시간에 불러내는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 케이블 티브이나 인터넷(IP)티브이 같은 유료 방송사업자가 지상파 프로그램을 재방송할 수 없는 기간 — 홀드백(hold back) ― 에 갇히지 않는다. 미리 얼마간 돈을 낸 시청자에게 따로 내준다.
2013년 4월부터 6월 사이에 KT·SK브로드밴드·LG유플러스 같은 아이피브이(IPTV)사업자가 잇따라 ‘지상파 브이오디’ 상품을 내놓았다. 다달이 1만 원쯤을 내면 ‘홀드백’에 관계없이 언제든 지상파 방송사인 SBS·KBS·MBC 프로그램을 다시 볼 수 있게 했다.
돈을 받고 내주는 ‘지상파 브이오디’ 상품이 해 볼 만한 사업으로 떠오르자 지상파 방송사가 ‘홀드백’을 1주일에서 3주일로 늘리려 했다. 돈을 받지 않고는 재방송할 수 없는 기간이 늘어나면 ‘지상파 브이오디’ 상품 수요를 자극해 프로그램 판매 수익이 많아질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
■지상파 삼차원 듀얼-스트림
地上波 三次元 Dual-Stream
지상파 방송 1개 채널에 쓰이는 주파수 폭 — 6메가헤르츠(㎒) — 으로 옛 이차원 그림과 삼차원 영상을 함께 전송하는 일. 따로 삼차원 영상을 담을 전파 — 주파수 ― 를 덧대지 않아도 돼 관심을 모았다.
이차원 티브이 시청자에겐 왼쪽 눈에 들어맞는 영상만 내보이고, 삼차원 티브이 수상기에는 입체감을 이루는 데 쓰이는 오른쪽 눈에 들어맞는 영상까지 내보이는 체계. 2012년 10월 26일부터 EBS와 MBC가 새벽 시간을 써 1시간씩 ‘지상파 삼차원 듀얼-스트림’ 시험 방송을 했다. 방송 방식은 2011년 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정한 표준에 따랐다.
■지상파 엠엠에스
地上波 MMS(Multi-Mode Service)
지상파 방송 전파 — 주파수 ― 1개 대역폭을 2개 넘게 쪼개 여러 채널을 내주는 일. 지상파 방송을 내보낼 때 한 채널마다 주파수 대역폭으로 6메가헤르츠(㎒)가 있어야 했는데 데이터양을 줄이는 기술이 좋아져 이를 서너 개로 나누어 쓸 수 있게 됐다.
옛 방송 채널 1개가 서너 개로 늘어나는 효과가 난다. 대역폭 6㎒ 안에서 고선명(HD: High Definition) 채널 한 개와 보통 화질(SD: Standard Definition) 채널 두세 개를 함께 운영하는 게 보통이다.
2013년 5월 이경재 제3대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이 이 서비스를 허용하겠다는 뜻을 내보였다. 한국교육방송공사(EBS)에 “우선권을 줄 수 있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그가 말한 것처럼 2015년 2월부터 EBS가 시범 방송을 했다. 2016년 지상파 방송 채널 번호 ‘10-2’와 유료방송으로 1800만여 가구에 전파가 닿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 티브이 방송시간 규제
地上波 TV 放送時間 規制
에너지를 아끼기 위해 1961년 한국방송공사(KBS)를 연 때로부터 시작한 지상파 티브이 방송 운용 체계. 1967년 6시 30분부터 9시까지 아침방송을 했고, 1996년 아침방송을 6시부터 12시까지로 늘렸으며, 2005년 12시부터 16시까지 낮방송을 텄다.
2012년 9월 6시부터 이튿날 1시까지 총 19시간으로 묶어 뒀던 방송허용시간을 0시부터 24시까지로 열었다. 방송통신위원회 승인을 따로 받지 않은 채 새벽 1시부터 6시까지 5시간 동안 지상파 티브이를 방송할 수 있게 된 것.
규제를 없앴으되 지상파 티브이 방송사는 하루 19시간 넘게 방송하고, 재방송 프로그램 편성비율을 다달이 심야(1시~6시) 방송시간의 40%를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19세 이상 시청가능 프로그램’도 다달이 심야 방송시간의 20% 밑으로 짜야 한다.
■지상파 티브이(TV) 방송 재전송
地上波 TV 放送 再電送
SBS·KBS·MBC 같은 지상파 티브이 방송을 종합유선방송이나 위성방송으로 다시 내보내는 것. 2011년 상반기부터 방송 재전송 값을 놓고 지상파 방송사와 종합유선방송업계가 다퉜다. 돈을 들이지 않고 누구나 보는 서비스로 여겼던 지상파 방송의 재전송에 따른 재산권을 인정해 줄지가 열쇠였다.
종합유선방송업계는 자신들의 재전송으로 지상파 방송 전파가 닿지 않는 곳 — 음영 지역 ― 을 없앨 수 있었다며 따로 값을 치를 까닭이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재전송료를 새로운 수익원으로 여긴 지상파 방송사업자와 부딪힐 수밖에 없었다. 갈등이 깊어지면서 시청자를 볼모로 삼은 방송 중단 — 블랙아웃 ― 사태까지 빚었다.
2012년 10월 수도권 종합유선방송사업자인 씨앤앰이 ‘가입자마다 월 280원’을 재전송 값으로 주기로 지상파 방송 3사와 합의했다. 씨앤앰에 앞서 CJ헬로비전도 280원을 내기로 했다.
■지-스타
G(Game)-STAR(Show & Trade, All-Round)
한국에서 가장 큰 게임 전시·거래 행사. 해마다 11월에 부산에서 열린다. ‘대한민국게임대전’을 비롯한 여러 게임 전시회를 모아 2005년부터 이 행사로 거듭났다. 2009년부터 문화체육관광부와 부산광역시가 함께 열었다.
■지아이에프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인터넷 같은 것으로 영상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쓰는 컴퓨팅 파일 부피를 줄이거나 저장하는 방식. 2012년 11월 옥스퍼드아메리칸딕셔너리가 ‘올해의 낱말(WOTY: Word of the Year)’로 내놓았다.
옥스퍼드대학 쪽은 ‘GIF’를 동사로 봤다. 행사에 얽힌 사진이나 간단한 비디오 시퀀스(sequence) 파일을 만들 때 쓰는 말로 여겼다. ‘GIF’가 단순한 명사가 아닌 동사로 끌어 당겨진 것도 “기념비적”이라고 덧붙였다. 이 낱말이 대중문화 요소로부터 연구·언론계에서 쓰는 진지한 응용 도구로 발전했고, 계속 어휘로서 정체성을 세워 가는 흐름이라고 곁점을 찍었다.
옥스퍼드딕셔너리는 2010년대 들어 해마다 ‘쥐어 짜인 중산층(squeezed middle)’, ‘온라인 친구 삭제(unfriend)’, ‘지역먹을거리주의자(locavore)’ 들을 올해의 낱말로 뽑았다.
■지엠티
GMT(Giant Magellan Telescope)
해발 2550m인 칠레 라스캄파스산에 세우는 천체 망원경. 지름 8.4m짜리 거울 7장을 잇대 지름이 25.4m에 이르는 반사 거울을 만드는 게 핵심이다.
우주가 처음 생겼을 때 나온 빛과 외계 행성을 살피는 게 목표. 이른바 ‘빅뱅(Big Bang)’ 뒤 10억 년까지였던 인류의 우주를 보는 힘을 4억 년까지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과학자들은 기대한다. 2021년부터 관측을 시작할 계획인데 미국 카네기재단천문대, 호주천문재단, 브라질 상파울로연구재단, 한국천문연구원이 힘을 모아 2015년 11월 공사를 시작했다. 모두 10억 달러쯤 들어가는데 한국이 1억 달러를 대고 해마다 한 달씩 망원경을 독차지해 쓰기로 했다.
허블 망원경보다 우주에서 온 빛을 모으는 힘이 100배나 더 좋다. 빛을 분해하는 힘도 10배나 돼 우주를 바라보는 힘이 허블보다 1000배쯤 낫다. 400㎞ 떨어진 곳에 둔 동전을 알아보는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오펜싱
geo-fencing
위치 정보 전파로 울타리 치기. 일정 지역에 전파 테두리를 두른 뒤 들고나는 통신기기를 알아볼 때 쓰인다.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치 확인 체계(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건물 안에 설치한 여러 통신 접속점(노드‧node)을 이용한 삼각 측량으로 일정 지역에 전파 울타리를 친다. 스마트폰 같은 통신기기를 가진 사람이 테두리 안에 들어온 걸 알아보고 그 사람에게 필요할 것 같은 상품 광고를 보여 주거나 판촉 행사를 안내해 준다. 통신기기 전파 신호가 강하고 약한 것에 따라 사람이 어디에 있고 어디로 움직이는지 알아낼 수 있다. 통신기기 이용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장소나 상품 판매장 따위를 미리 정해 두고 들고나는 걸 자동으로 알리게 할 수도 있다.
■지지
GG(Good Game)
온라인 게임에서 “재미있었다”거나 “좋은 시간이었다”는 뜻을 담아 상대에게 건네는 항복 표시. “졌다”는 말 대신 쓰인다. 이런 쓰임새에 눈길을 두고 ‘기브 업 게임(Give up Game)’으로 풀어내기도 한다.
낱말 뜻 그대로인 ‘좋은 게임’으로 쓰는 때도 있다. 지방자치단체인 경기도가 폭력성·선정성·도박성이 없는 게임을 ‘굿 게임(Good Game)’이라고 불렀다. 교육·훈련·치료·운동을 곁들인 ‘기능성 게임(Seriuos game)’도 ‘굿 게임’ 가운데 하나로 보았다.
경기도는 2009년부터 해마다 연 ‘경기 기능성 게임 페스티벌’을 2013년 5월 ‘굿 게임 쇼 코리아’로 이름을 바꿔 열었다. 2016년 ‘플레이엑스포(PlayX4)’로 한 번 더 바꿨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통신
直交 周波數 分割 多重 通信,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특성이 같은 신호 여러 개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함께 작용을 받아 움직이는 ‘직교’ 성질을 이용해 주파수를 나누어 쓰는 통신 기술. 다중통신이나 다원동시방송에 쓸모가 있고, 4세대(Generation) 이동통신의 전파 간섭을 없애는 데 쓰인다.
방송통신에 전파를 쓰려면 간섭 현상을 막기 위해 가까운 대역 사이에 얼마간 공백(white space)을 마련해야 하는데 오에프디엠(OFDM) 체계에는 그런 공간이 없어도 된다. 이 특성 덕에 데이터 통신량이 크게 늘어 체증을 빚는 전파 — 주파수 ― 자원 이용 효율을 더 낫게 할 수단 가운데 하나로 떠올랐다.
방송과 가까운 거리에 쓰는 선(wire) 없는 통신에는 걸맞되 고정형 무선 통신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주장도 있다.
■징기스
Genghis
로드니 브룩스(Rodney Brooks)가 1988년에 만든 로봇. 곤충처럼 다리가 여섯 개 달렸다. 다리마다 맞닥뜨린 상황에 따라 알아서 움직인다. 같은 기능을 하는 51개 프로그램이 사람 중추 신경 체계처럼 서로 정보를 주고받으며 느낀 대로 행동하게 했다.
사람이 미리 알려 준 대로만 행동하게 하던 로봇 공학의 바탕을 크게 흔들었다. 보거나 느낀 대로 움직이는 게 핵심. 1997년 7월 4일 화성에 착륙한 탐사 로버(rover) ‘소저너(Sojourner)’의 본보기가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싸이월드 피난 > 이기자 ICT 시사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ㅋ] ‘카드뉴스’부터 ‘키홀’까지 41개 (0) | 2017.02.22 |
---|---|
[ㅊ]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로부터 ‘치’까지 18개 (0) | 2017.02.19 |
[ㅇ] ‘아날로그 반도체’로부터 ‘잊힐 권리’까지 206개 (0) | 2017.02.12 |
[ㅅ] ‘사기탐지시스템’으로부터 ‘싸이밸류 얼라이언스’까지 107개 (0) | 2017.01.29 |
[ㅂ] ‘바이킹’에서 ‘빛마루’까지 38개 (0) | 2017.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