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96

기본소득 시대

홍기빈 김공회 윤형중 안병진 백희원 지음. 아르테 펴냄. 2020년 9월 28일 1판 1쇄. 결국 중산층이 복지 수혜자가 돼야 증세가 가능해지고, 이를 통한 복지 총량이 늘어나 소득재분배 효과로 이어진다. 기본소득은 중산층을 복지 동맹에 참여시키는 유용한 수단이다(118쪽). ㅡ윤형중 18세기 미국 독립에 현저한 영향을 끼친 사상가 토머스 페인은 ‘토지는 인류에게 주어진 공공 자산이므로 여기서 발생한 부는 모두에게 분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75쪽).

더 저널리스트: 어니스트 헤밍웨이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김영진 옮김. 한빛비즈 펴냄. 2017년 8월 15일 초판 1쇄. 2017년 10월 25일 초판 2쇄. 치료는 모두에게 공평하다. 환자가 다친 이유나 환자의 공적을 가리지 않는다(33쪽). 진솔하지 못한 인물이 조직력을 이용해 국민의 애국심을 선동하는 건 아주 위험한 결과를 낳는다(116쪽). 믿는 만큼만 진실을 볼 수 있는 이번 전쟁은 지금껏 없었던 정말 낯선 종류의 전쟁이다(150쪽). 전쟁을 시작하기 전에는 언제나 내가 아니라 다른 사람들만 희생될 거라 생각한다. 하지만 전쟁이 길어지면 내가 장담하건대, 당신이 죽을 차례가 온다(189쪽). 작가의 변치 않는 고민거리는 어떻게 진실만을 말할까, 무엇이 진실인지 깨달은 후에 이것을 어떻게 글에 녹여내어 독자의 삶 일부가 되게 ..

왜 언론이 문제일까?

박영흠 지음. 반니 펴냄. 2018년 2월 15일 1판 1쇄. 2018년 7월 15일 1판 2쇄. 언론은 ‘사실’에 근거한 말과 주장을 전달하는 경우로 엄격히 제한되어야 한다. 가짜 뉴스는 사실에 근거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언론이 아니다(18쪽). 오늘날 언론의 입을 다물게 하는 거대 권력은 자본이다(51쪽). 전통적으로 언론은 ‘두 얼굴의 야누스’ 같은 존재였다. 언론은 공적 서비스를 수행하지만, 이윤을 추구하는 사기업의 형태로 운영된다. 즉 언론은 공적 이슈를 다루고 사회적 책임을 요구받는 공적 기관인 동시에, 수익을 올려 경제적으로 자립해야 하는 기업이다. 정부의 감독이나 간섭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권력을 견제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지만, 이중적 정체성 속에서 균형을 잡아야 하는 숙명적 과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