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96

1987 그날

유승하 지음. 창비 펴냄. 2020년 4월 3일 초판 1쇄. “어떡해? 우리 동네 철거될 거래···(34쪽).” 감옥 생활은 어찌 보면 자신을 더 강하게 단련시키는 또 다른 인생 학교랄까···. 저들이 내 몸은 구속했을지언정 내 사상, 신념은 구속할 수 없어(49쪽). 1987년 1월 14일 아침 남영동 대공분실(84쪽). 믿을 수가 없어. 정말 종철이가 죽었다고?······중략······온 세상이 깜깜해. 이 어둠이 끝나기나 할까? 영원히 이럴 것만 같다(95쪽). 18:00 뎅 뎅 뎅 뎅. “호헌철폐 독재타도(171쪽).” ‘한열이를 살려내라(189쪽)!’

아무튼, 떡볶이

요조 지음. 위고 펴냄. 2019년 11월 25일 초판 1쇄. 2019년 12월 5일 초판 2쇄. 우리는 괴물처럼 먹고선 소녀 같은 얼굴로 나왔다(31쪽). 우리는 쓸쓸한 이야기를 나누면서 전복죽을 엄청 맛있게 먹었다(35쪽). 아주머니는 “응” 하더니 그 초라한 철판 안을 국자로 슬슬 몇 번 젓고 떡 몇 조각과 오뎅을 그릇에 담아주었다. 떡은 가래떡이었고 길이가 몽당했다. 양념이 굉장히 붉어서 입에 넣는 순간 아주 매울 것 같았다(40쪽). 이 작은 가게에서 얼마나 커다랗고 아름다운 것이 쑥쑥 뻗어나가고 있는지 김경숙 씨는 알고 있을까(121쪽). 떡볶이집 이야기만 나오면 부지불식간에 알은척을 하고 있는나를 보면서 뭔가에 대해 많이 알아가는 사람은 조금만 방심하면 바로 재수 없어질 수 있다는 것을 깨달..

동아 평전

손석춘 지음. 자유언론실천재단 펴냄. 2021년 3월 22일 초판 1쇄. 공정은 공평과 올바름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공평에 머물고 있는 보도나 논평을 소극적 공정으로, 공평에 더해 올바름까지 숙의한 보도나 논평을 적극적 공정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30쪽). 우리가 민주주의를 지향한다면 소통권 약한 사람들의 목소리를 누군가 담아내야 한다.······중략······바로 그 임무를 맡은 사회적 제도가 언론이고 저널리즘이다.······중략······아래로부터 민주주의를 구현하려는 수많은 사람들이 일궈낸 가치가 공정이다(32쪽). 언론사적 의미를 짚을 때 “3·1운동의 정신이 그대로 이어진” 신문은 동아일보가 아니라 조선독립신문이었다(41쪽). 총독부가 선택한 발행인은 세 명이었다. 노골적인 친일세력에게 먼저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