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81

미디어와 공간 변화

이희상 지음. 커뮤니케이션북스 펴냄. 2020년 10월 15일 초판 1쇄. “맨체스터 사운드는 런던의 중심에 대항한다는 기호가, 시애틀 사운드는 뉴욕의 중심에 대항한다는 기호가 덧붙어 있다(9쪽).” -신현준, 2012. “광고의 이미지와 언어는 있는 그대로의 삶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자본주의의 원리에 따라 ‘있어야 할’ 삶을 나타낸다(27, 28쪽).” -Cronin, 2008. 캠벨은 SUV가 육체의 생명정치와 세계의 지정학을 연결하는 제국의 자동차라고 주장한다(33쪽). 브뤼노 라투르는 기술적 무의식이라는 블랙박스 상황을 “우리는 기술에 완전히 의존하는 한편, 그런 기술 위에서 떠도는 것 같다”라고 말한다(64쪽). 항해 가능한 공간을 의미하는 사이버스페이스는 SF 소설가인 윌리엄 깁슨에 의해 ..

호밀밭의 파수꾼

제이 디 샐린저 지음. 정영목 옮김. 민음사 펴냄. 2001년 5월 30일 1판 1쇄. 2023년 9월 19일 3판 4쇄. 어떤 것들은 있는 그대로 늘 있어야 한다. 그 커다란 유리 상자에 갖다 두고 그냥 내버려 둘 수 있어야 한다(187쪽). 이때 웃기는 거, 그 애를 보는 순간 결혼하고 싶어졌다. 나는 미쳤다(190쪽). 묘지에 있는 건 그 애의 몸과 그런 것뿐이고 영혼은 천국에 있다는 둥 그 모든 헛소리를 잘 알지만 어쨌든 견딜 수가 없었다(234, 235쪽). 그러니까 꼬마들이 어디로 가는지 보지도 않고 마구 달리면 내가 어딘가에서 나가 꼬마를 붙잡는 거야. 그게 내가 온종일 하는 일이야(260쪽).

모바일 게임 스토리텔링

이진 지음. 커뮤니케이션북스 펴냄. 2020년 6월 12일 초판 1쇄. 새로움은 상대적이고 늘 그 대상이 교체되기에 결국 의미 있는 경험이 전제되지 않은 기술적 새로움은 휘발되기 마련이다(5쪽). 시청자는 일상의 공간에서 텔레비전 스크린 안팎을 불연속적인 몰입의 상태로 넘나들 수 있으며, 편성과 같은 방송 시스템은 이런 시청 경험을 토대로 형성된 개념이다. 편성은 시청자의 시청 경험과 상호작용하며 형성된 ‘배분(distribution)’이라는 정적인 개념이 아닌 ‘계획된 흐름(planned flow)’이라는 동적인 개념이다(13쪽). 바흐친은 문화와 삶이 분리되고 있는 현대의 위기 속에서 소설과 구체적인 삶의 결합을 위해 소설의 형식과 내용에 대한 이론의 정립을 시도했다(7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