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96

현장 기록, 방송노조 민주화 운동 20년

새언론포럼 지음. 커뮤니케이션북스 펴냄. 2008년 1월 31일 초판 1쇄. 2021년 10월 20일 초판 2쇄. (1973년) 11월 5일 동아일보 기자 50여 명이 경북대 학생시위와 민주수호국민협의회의 시국선언문 낭독에 대한 기사가 외압으로 보도되지 못하자 편집국에서 철야농성을 하면서 1971년 4월 15일 ‘언론수호선언’에 이은 ‘제2의 선언’을 결의하였다. 같은 날 대구의 매일신문도 유사한 내용의 선언을 결의하였고 이후 한국일보, 조선일보로 확산되었다(14쪽). 1977년 12월 이부영, 성유보 기자의 출감 환영회 자리에서 동아투위와 조선투위 기자들은 공동으로 민족민주언론 선언문을 발표한다.······중략······민주언론은 민중의 아픔을 같이하는 민중을 위한 민중의 언론이어야 한다(18쪽). 1..

숨을 참다

김종진 박내현 박점규 박혜리 변정윤 송경동 사이 연정 이다혜 이병희 정슬기 정윤영 정창조 하명희 희정 지음. 후마니타스 펴냄. 2022년 3월 14일 1판 1쇄. 교실을 사용하고 전원을 끄고 나가지 않아서 재계약이 안 된 강사도 있다. 할머니 상을 당해서 수업을 진행하지 못해 잘린 강사도 있었다(26쪽). 노동조합이 생기자 많은 것이 달라졌다.······중략······내 노동의 지속과 멈춤을 자신이 결정할 수 있다는 생각만으로 이룬 변화였다(48쪽). ‘2인 1조’ 같은 방법은 왜 ‘호신용 호루라기’보다 나은 대안이 될 수 없는 걸까.······중략······안전은 비용과 책임의 문제다. 책임지지 않고, 비용을 들이지 않고서는, 어떤 형태의 위험도 예방할 수 없다(69쪽). 국가는 취약한 노년도 방치하고..

아무튼, 뜨개

서라미 지음. 제철소 펴냄. 2020년 11월 27일 초판 1쇄. 포털사이트가 무슨 알고리즘으로 내게 수세미 뜨개 키트를 보여줬는지 모르지만 아무튼 적중했다(18쪽). 뜨개뿐인가, 결혼하지 않았다면 나 또한 돌봄 노동하는 여성을 임금 노동하는 여성에 비해 수동적이고 세상을 넓게 보지 못하는 사람이라고 단정했을지 모른다(85쪽). 니그로가 아니라 아프리칸 아메리칸, 벙어리장갑이 아니라 손모아장갑이라고 불러야 하는 이유가 있다(115쪽). 그러니 부지런히 걷자. 멈추지 않으면 기어이 닿을 그곳을 향해(13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