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96

저널리즘의 기본 원칙

빌 코바치, 톰 로젠스틸 지음. 이재경 옮김. 한국언론진흥재단 펴냄. 초판 1쇄 2003년 11월 30일, 2판 1쇄 2009년 9월 30일, 3판 1쇄 2014년 12월 10일. 저널리즘의 목적은 기술에 의해 정의되지 않는다. 또 기자들이나 그들이 활용하는 취재 보도 기법이 저널리즘의 목적을 정의하지도 않는다. 저널리즘의 원칙들과 목적은 좀 더 기본적인 무엇에 의해 정의된다. 그 기본적인 무엇은 바로 뉴스가 시민들의 생활 속에서 수행하는 기능이다(7쪽). 미국의 저널리즘 역사에는 민주주의 없는 자본주의를 옹호하는 신문 발행인의 사례가 없었다. 그러나 머독의 선언 이후로 저널리즘을 다른 상업적 이익에 예속시키는 소유권 사례는 자꾸 늘어간다(44쪽). 첫 번째 압력은 속도다. 뉴스를 취재하는 상황에서 속도..

걸리버 여행기

조너선 스위프트 지음. 류경희 옮김. 더스토리 펴냄. 2020년 4월 30일 초판 1쇄. 황제 폐하는 다음에 기회를 봐서 내가 나머지 적선들도 포획해 오기를 바랐다. 군주들의 야심이란 그처럼 끝이 없는 것이다.······중략······그리고 나는 자유롭고 용감한 어떤 민족을 노예 상태로 몰아넣는 도구는 절대로 되지 않겠다는 점을 그에게 분명히 밝혔다(88쪽). 나는 타고난 천성과 운명에 의하여 활동적이고 불안한 삶을 살도록 운명지어졌기 때문에, 결국 돌아온 지 두 달만에 다시 조국을 떠났다(139쪽). (두 달만에 → 두 달 만에) 인간들이란 몸 크기에 비례하여 더욱 야만적이고 잔인한 존재로 관찰되고 있다(146, 147쪽). 매일같이 중노동에 시달리느라 불과 몇 주 사이에 내 건강이 크게 나빠졌다. 주..

고군분투 책 일기

최유리 지음. 위즈플래닛 펴냄. 2017년 11월 5일 초판 1쇄. 90년대에 위치한 내 유년 시절의 기억은 코리안 스탠더드로 향해 가는 부모님의 욕망, ‘인공물’이 만들어 낸 중산층을 향한 욕망이었다. 마이카, 마이하우스, 사교육(22쪽). 나는 남자에게 사랑받아야만 하는 여자가 아니고, 자매애나 동성애도 잘 모르겠다. 굳이 설명하자면 나의 경우 걸그룹을 보는 건 인형놀이를 하는 느낌이다. 예쁜 곰인형을 보는 느낌, 고양이를 보는 느낌이랄까(31쪽). 고모는 나에게 왜 결혼을 하지 않냐고 물었고, 돈이 없다고 답했다. 고모는 단칸방에서 시작하는 거라고 말씀하셨지만, 나는 그런 곳에서 아이를 키우며 살고 싶지 않다. 연예인들의 아이가 자라는 모습을 TV에서 본다. 아이들이 예뻐서 자주 보지만 그걸 볼 때..